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3)
아름다운 제주에서 회상되는 과거와 새로운 시작. 영화 <늦여름> 한국사람에게 제주도란, 가깝지만 멀고, 익숙하지만 특별한 곳이다. 그래서 그 곳에 얽힌 추억들이 누구나 하나쯤은 있다. 영화는 제주도의 한 게스트하우스를 배경으로 펼쳐진다. 게스트하우스 주인부부인 정봉(임원희)과 성혜(신소율)는 몇 년 전 인도여행에서 처음 만나, 제주도에서 우연히 재회하게 되고 운명이라고 느낀 두 사람은 결혼하여 벌써 2년 째 제주도에서 알콩달콩 살고 있다. 그러던 어느 늦은 여름날, 한 남자 인구(전석호)에 이어서 친구사이인 두 여자 채윤(정연주), 하서(권하서)가 투숙객으로 방문하게된다. 사실 성혜와 인구는 연인사이였다. 인구는 홀연히 사라진 그녀에게 갑자기 떠나버린 이유라도 듣고싶어하지만, 성혜는 이제와서 굳이 그런얘기를 하고싶지 않다. 두 사람 모두, 마음이 싱숭생숭하다. 그리고..
스토리 조각들의 퍼즐여행. 천재 장률 감독의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리뷰/후기 스토리 조각들의 퍼즐여행. - 후기/리뷰/해석 시작이 가운데다. 가운데에서 시작한다.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다. 내가 생각하는, 정말 좋은 영화들은 관객을 위한 공간을 남겨둔다. 완성된 영화는 8~9까지만, 나머지 1~2는 개인의 경험이나 상상으로 채워주어야 비로소 한 작품이 완성되어 마음속에 저장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5~6정도만 채운 채 엔딩크레딧을 올린다. 일부 관객들은 혼란스러울 수 있고 논리적인 접근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부분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것이 당연하다. 결과적으로 나에겐 좋은 영화였다. 이 영화를 리뷰할 때 "연출이 어떻네, 연기가 좋았네, 어쩌네 저쩌네." 이 같은 분석적인 사고를 할 겨를이 없었다. 오로지 이 영화가 던지는 여러 조각들과 내 경험이 묻은 조각들로 퍼즐을 맞춰..
분단체제가 낳은 어느 희생자의 이야기. 이범수 주연의 <출국> GV시사회 2018.11.14개봉 처음엔 테이큰 이범수 버전인줄 알았으나, 무늬만 첩보액션이지, 분단국가의 설움을 장황한 픽션으로 표현한 실화바탕 휴먼드라마. 1986년, 베를린에서 유학중인 평범한 경제학자 영민(이범수). 한 순간의 실수로 모든걸(가족) 잃어버리고 가족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어느 아버지의 눈물겨운 고군분투기를 그린 영화다. 시대적 배경에 주목. 기본 스토리는 잃어버린 가족을 찾아나서는 이야기이나, 분단체재속에서 힘 없이 희생되는 한 인간의 이야기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평화가 올 것을 암시하는 배경이다보니 일각에선 개봉전부터 논란이 있는 영화지만, 작품을 막상 들여다 보면 그다지 정치색을 띠고 있지는 않다. 실화바탕 이야기. 영화 오프닝에 '실화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자막이 올라..
다큐를 닮은 상상 픽션, 주목할 신인감독 '정가영'의 <비치온더비치> 외 정가영 단편 3편 가까이 보면 생기발랄. 멀리서 보면 쓰디씁쓸. 곱씹어 보면 추억가득. 영화 를 보고싶었는데, 상영관이 너무 없는 관계로, 도저히 시간을 맞추기가 어려워, 정가영 감독의 다른 작품들을 다시 찾아 보기로 했다. 비치온더비치, 옛 연인이었던 두 사람. 어느 날 전남친(정훈)의 집으로 찾아간 전여친(가영) 20대 청춘들의 실용 언어(?)를 구사하며, 질투, 연민, 추억, 유혹 등 다양한 감정을 오로지 대화속에서 느낄 수 있는 영화다. 처음 이 영화를 접했을 땐. 이거 시나리오는 있는건가? 살벌한 롱테이크는 의도된거야? 배우들은 대사를 외워서 하는거겠지? 여러 궁금증이 들었지만, 감독님의 인터뷰 기사에서 애드립은 거의 없다는 내용을 읽은 적이 있다. 생각보다 더 대단한 신인감독님이시구나 싶었..
영화같은 레전드의 삶, 그 삶을 다시 영화로. <보헤미안 랩소디> #ScreenX 영화같은 인생을 살고 떠났던 레전드의 인생을 다시 영화로. 비틀즈에 이어 제 2의 브리티시 인베이전. 80년대 전설적인 영국의 락 그룹 'Queen'의 탄생 스토리부터 최후의 순간까지를 그린 영화다. 그 중에서 45세의 짧고 굵은 삶을 살다간 퀸의 리드보컬 '프레디 머큐리'의 생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다시 듣는 퀸의 명곡들] 퀸을 본적은 없어도, 그들의 음악을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들이 남긴 엄청난 명곡들 중 일부를 영화에서 생생한 공연실황과 함께 만나볼 수 있다. 2시간 동안 한 시도 지루할 틈 없이 흘러가며 엔딩에서 윔블던 '라이브 에이드' 공연으로 절정의 순간을 맞이한다. [폭스의 센스] 스크린X 제작이 신의 한 수 였다. 공연장면이 나올 때 마다 삼..
관객의 경험과 상상력을 활용한 블랙코미디, <완벽한 타인> (스포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영화관에서 정말 이렇게 웃은 것 같다. 이번 달에 가장 크게 터진 순간이었다. (리뷰에 ㅋㅋ 등을 쓰는걸 싫어하지만) 이제라도 상업성 짙은 영화는 웬만하면 VOD로 접하려 했는데 이 영화는 예고편보고 왠지 궁금해서 이끌리듯이 급허락받고 급예매해서 봤다. (결과적으로 혼자 보길 참 잘했다.) 15세 관람가 코미디 영화다. 내가 찾은 상영관엔 어른들보다 대학생 커플, 심지어 교복입은 커플도 많았다. 영화관은 웃음소리로 대사가 잘 들리지도 않는다. 뭐가 그렇게 웃겼을까. 저 학생들은 뭘 보고 웃는걸까. 어르신들은 왜 저렇게 허허허 웃으실까. 같은 공간, 같은 웃음소리, 포인트는 분명 다르다. 그런 의미에서 대중을 사로잡을 수 있는 매력적인 영화다. 사람이 다 그렇겠지..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의 실화. - <마틸다: 황제의 연인> 리뷰/후기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실화. 로마노프 왕가 러시아의 황제 알렉산드르가 세상을 떠나고, 황태자로 임명된 니콜라이 2세는 약혼녀 알릭스와 결혼과 동시에 왕위 계승 대관식을 치르려는 와중에, 아름다운 발레리나 마틸다와 불꽃같은 사랑에 빠지게 되며 펼쳐지는 이야기다. 러시아 영화. 낯섦에서 온 낮은 기대치는 상상이상의 만족감을 이끌어냈다. 비엔나의 쇤부른궁전을 연상케하는, 아니 어쩌면 그 이상의 고풍스럽고 아름다운 러시아의 황실 배경은 비주얼만으로도 관객에게 충분히 황홀한 기분을 선사한다. 배우들의 명품연기. 모든 배우들은 훌륭한 비주얼 못지 않은 열연을 펼친다. 특히 니콜라이 2세의 생전모습을 빼다닮은 배우 라르스 아이딩어는 여러 감정 사이에서 갈등하는 황태자의 애처로운 모습을 깊은 눈망울에..
편견없이 바라보는 그들의 순수한 사랑 - <필름스타 인 리버풀> 필름스타 인 리버풀 감독 폴 맥기건 출연 제이미 벨, 아네트 베닝 개봉 2018.10.25. #시사회 #2018.10.25.개봉 십년쯤 지나면, 내 주변에서도 이런 사랑을 아무렇지 않게 보게될 수 있으려나. 1978년, 리버풀에서 배우 지망생인 28살 '피터'(제이미 벨)는 20년전 스타였던 중견배우 '글로리아'(아네트 베닝)와 말 그대로 영화같은 사랑에 빠지게 되고, 살아온 환경이 많이 달랐지만 함께라서 특별하고 절실했던 두 사람은 어쩌면 마지막이 될 시간을 위해 뉴욕에서 가장 뜨겁게 사랑했던 리버풀로 돌아오게 된다. (나중에 알았지만 50년대 배우 글로리아 그레이엄의 실제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리버풀과 뉴욕을 뱨경으로 유럽과 미국의 당시 도시 풍경을 씬 마다 아름답게 그려낸 로맨스 영화..